(데이터 분석)파이썬 -오라클 가이드북 import sqlalchemy as sa import cx_Oracle import pandas as pd import numpy as np #ref:https://www.daleseo.com/?tag=Python from datetime import datetime, date print("date(2019, 12, 25):\t\t", date(2019, 12, 25)) print("date.today():\t\t\t", date.today() ) print("date.today().isoformat() date->str:", date.today().isoformat()) print("date.today().strftime('%Y/%m/%d') date->str:", date.today().strfti.. 파이썬 - enumerate 함수 enumerate 반복문 사용 시 몇 번째 반복문인지 확인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 이때 사용합니다. 인덱스 번호와 컬렉션의 원소를 tuple형태로 반환합니다. >>> t = [1, 5, 7, 33, 39, 52] >>> for p in enumerate(t): ... print(p) ... (0, 1) (1, 5) (2, 7) (3, 33) (4, 39) (5, 52) tuple형태 반환을 이용하여 아래처럼 활용할 수 있습니다. >>> for i, v in enumerate(t): ... print("index : {}, value: {}".format(i,v)) ... index : 0, value: 1 index : 1, value: 5 index : 2, value: 7 index : 3, valu.. 파이썬 - 예외 처리 #원화를 입력, 환율 입력 -> 달러값 won = input("원화금액을 입력하세요>>>") dollar = input("환율을 입력하세요>>>") try: #예외가 발생 할 수 있는 코드 print(int(won)/int(dollar)) except ValueError:#예외가 발생했을 때 실행되는 코드 #에러종류 지정 가능 print("문자열 예외 발생") except ZeroDivisionError: print("나누기 0은 불가능") except : #모든종류 예외 print("예외발생") else: print("예외 발생하지 않았을 때 실행되는 코드") finally: print("예외가 발생하던지, 발생하지 않던지 항상 실행되는 코드") #rasie 구문을 사용해서 에러를 강제로 발생 try:.. (데이터 분석)파이썬 -오라클 연동 데이터 핸들링 함수 정의 (insert, update, delete) import cx_Oracle as cx # API = 패키지 --- 라이브러리 # conn = cx.connect("ai","0000","127.0.0.1:1521/XE") # if bool(conn): # print("연결성공") # else: # print("연결실패") # # cur = conn.cursor() #커서로 데이터 접근가능 # cur.execute("select * from emp") #emp 데이터 가져와라 (SQL문) # for c in cur: # print(c) #() 튜플 : 수정,삭제 불가 # # cur.close() #커넥션 한번 열었으면 다시 닫아주기 연결 많아지면 오라클 서버 과부화 # conn.close() #-.. (데이터 분석) 파이썬 - 오라클 연동 import cx_Oracle as cx # conn = cx.connect("ai","0000","127.0.0.1:1521/XE") # if bool(conn): # print("연결성공") # else: # print("연결실패") # # cur = conn.cursor() #커서로 데이터 접근가능 # cur.execute("select * from emp") #emp 데이터 가져와라 (SQL문) # for c in cur: # print(c) #() 튜플 : 수정,삭제 불가 # # cur.close() #커넥션 한번 열었으면 다시 닫아주기 연결 많아지면 오라클 서버 과부화 # conn.close() #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.. 파이썬 - 모듈 10장 모듈¶ 10.1 모듈을 사용하는 이유¶ 모듈 생성 및 호출¶ 모듈 만들기¶ [10장: 181페이지] In [140]: # #절대경로 # %%writefile C:\myPyCode\my_first_module.py # #상대경로 %%writefile .\my_first_module.py # File name: my_first_module.py def my_function(): print("This is my first module.") UsageError: Line magic function `%%writefile` not found. In [ ]: %%writefile .\my_first_module.py def my_function(): print("This is my first module.".. 파이썬 - 클래스 자세히 8장 객체와 클래스¶ 8.1 클래스 선언과 객체 생성¶ 객체란?¶ 클래스 선언¶ 객체 생성 및 활용¶ [8장: 137페이지] In [1]: class Bicycle(): # 클래스 선언 pass [8장: 138페이지] In [2]: my_bicycle = Bicycle() [8장: 138페이지] In [3]: my_bicycle Out[3]: [8장: 138페이지] In [4]: my_bicycle.wheel_size = 26 my_bicycle.color = 'black' [8장: 139페이지] In [5]: print("바퀴 크기:", my_bicycle.wheel_size) # 객체의 속성 출력 print("색상:", my_bicycle.color) 바퀴 크기: 26 색상: black [8장: 13.. 파이썬 - 클래스/모듈 #모듈 : .py(확장자)파일 lec08.py # 존재하는 모든 것 =프로그램에 녹일 수 있는 것 =객체 # 속성 = 값 = 변수 # 행위 = 동작 = 함수(메서드) # self는 예약된 키워드 # self 붙어있는 메서드는 해당 클래스를 이용해서 접근해라 (생성자를 통해) # xx = UserClass() #생성자 # xx.~~~ 로 실행 def dummy(num): print("dummy() 함수 실행",num) class UserClass: username = "aaa" userage = 0 def userPrint(name): print(f"{name}님 입니다.") def userSearch(self,name): print(f"{self} 주소, {name}") def userInsert(sel.. 파이썬 - 함수 Ch07. 함수¶ def 함수이름 ( 파라미터, 매개변수, 인자) : 기능... retrun 10 함수이름 , 파라미터 , 리턴값 리턴이 없는 경우 In [1]: # add 함수는 두개의 수를 입력받아 합을 출력 def add(num1, num2): res = num1 + num2 print(res) In [3]: # 호출한다 == 남의 함수를 갔다 쓴다 add(3,6) 9 리턴이 있는 경우 In [22]: # add 함수는 두개의 수를 입력받아 합을 출력 def my_add(num1, num2): res = num1 + num2 print(res) return res # 호출자한테 값을 주다 In [23]: # 호출한다 == 남의 함수를 갔다 쓴다 my_add(3,6) * 10 9 Out[23]: 90.. 파이썬 - 클래스 클래스¶ In [2]: #클래스를 사용하는 이유 champion1_name = '이즈리얼' champion1_health = 700 champion1_attack = 90 print(f"{champion1_name}님 소환사의 협곡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.") champion2_name = '리신' champion2_health = 800 champion2_attack = 95 print(f"{champion2_name}님 소환사의 협곡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.") def basic_attack(name, attack): print(f"{name} 기본공격 {attack}") basic_attack(champion1_name,champion1_attack) basic_attack(champion2_name,.. 이전 1 2 3 다음